- 블록 암호 알고리즘(대칭키)
- DES : 64비트 블록, 56비트 키, 16라운드, Feistel 구조
- 3-DES : 2개의 키, 암호화-복호화-암호화, Feistel 구조
- AES : 128비트 블록, 128/192/256비트 키, 10/12/14라운드, SPN 구조
- SKIPJACK : 64비트 블록, 80비트 키, 32라운드, Feistel 변형
- IDEA : 64비트 블록, 128비트 키, 8라운드, Feistel+SPN 구조 (스위스)
- SEED : 128비트 블록, 128비트 키, 16라운드, Feistel 구조 (한국)
- ARIA : 128비트 블록, 128/192/256비트 키, 12/14/16라운드, SPN 구조 (한국)
- LEA : 128비트 블록, 128/192/256비트 키, 24/28/32라운드, SPN 구조 (한국, 경량)
-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(대칭키)
- LFSR : 선형 피트백 시프트 레지스터
- RC4 :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에서 널리 사용
- A5 : GSM 통신에서 사용
-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(비대칭키)
- 소인수 분해 : RSA, Rabin
- 이산대수 : Diffie-Hellman, DSA, ELGamal
- 타원곡선 : ECC
- 단방향 암호 알고리즘(해시 함수)
- MD5 : MD4 개선, 빠른 계산 속도, 취약점 발견
- SHA : NIST(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)에 의해 개발된 해시 함수
- HAS-160 : 한국에서 개발된 해시 함수, KCDSA(디지털서명)에 사용
- 단방향 암호 알고리즘의 취약점
- 무차별 대입 공격 : 문자열 범위 내 생성 가능한 모든 조합 시도
→ 키 스트레칭 : 해시과정을 여러 번 반복함으로써 대응 - 레인보우 테이블 공격 : 변환 가능한 모든 해시값이 매핑된 테이블 이용
→ 솔팅 : 데이터에 임의의 값을 추가함으로써 대응
- 무차별 대입 공격 : 문자열 범위 내 생성 가능한 모든 조합 시도
'Data Analysis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수제비 2023 기출 1~2회] 출제 개념 정리 (0) | 2024.04.27 |
---|---|
[수제비 2022 기출 1~3회] 출제 개념 정리 (0) | 2024.04.27 |
[데이터베이스DB] 관계대수, 관계해석, SQL 쓰임 정리 (1) | 2024.04.27 |
[수제비 2021 기출 1~3회] 출제 개념 정리 (1) | 2024.04.26 |
[수제비 2020 기출 1~4회] 출제 개념 정리 (1) | 2024.04.26 |